修身十訓(수신십훈)-退溪(퇴계)-
1. 立志(입지)
當以聖賢自期不可存毫髮退托之念(당이성현자기 불가존호발퇴탁지념)
뜻을 세움에는 마땅히 聖賢(성현)을 目標(목표)로 하고 털끝만큼도
못났다는 생각을 해서는 안 된다.
2. 敬身(경신)
當以九容自持不可有斯須放倒之容(당이구용자지 불가유사수방도지용)
몸가짐을 경건히 함에는 마땅히 아홉가지 바른 모습 (九容:구용.足容重,
手容恭, 目容端, 口容止, 聲容靜, 頭容直, 氣容肅, 立容德, 色容莊)을 지키고
잠깐 동안 이라도 放縱(방종)한 태도를 가져서는 안 된다.
3. 治心(치심)
當務淸明和靜不可墜昏沈散亂之境(당무청명화정 불가추혼침산란지경)
마음을 다스림에는 마땅히 깨끗하고 고요하도록 힘쓸 것이요 흐릿하고
어지러운 지경에 떨어져서는 안 된다.
4. 讀書(독서)
當務硏窮義理不可爲言語文字之學(당무연궁의리 불가위언어문자지학)
글을 읽음에는 마땅히 그 뜻을 밝히는데 힘쓸 것이요 말과 문자에만
매달리는 공부가 되어서는 안 된다.
5. 發言(발언)
必詳審精簡 當理而有益於人(필상심정간 당리이유익어인)
말을 할 때에는 반드시 자세하고 簡潔(간결)하게 하되
이치에 맞아서 사람에게 도움이 되어야 한다.
6. 制行(제행)
必方嚴正直守道而無汚於俗(필방엄정직 수도이무오어속)
행동을 制御(제어)함에는 반드시 바르고 곧도록 해야 하고
道理(도리)를 지켜서 世俗(세속)에 물들지 말아야 한다.
7. 居家(거가)
克孝克悌正倫理而篤恩愛(극효극제 정륜리이독은애)
家庭生活(가정생활)에서는 효도와 우애를 다할 것이며
倫理(윤리)를 바로잡고 은혜와 사랑을 독실하게 해야 한다.
8. 接人(접인)
克忠克信泛愛衆而親賢士(극충극신 범애중이친현사)
사람을 대할 때에는 誠實(성실)과 信義(신의)를 다하고
모든 사람을 사랑하되 어진 이를 가까이 해야 한다.
9. 處事(처사)
深明義理之辨懲忿窒慾(심명의리지변 징분질욕)
일을 처리함에 있어서는 옳고 그름을 徹底(철저)히
밝히고 분노를 억누르고 慾心(욕심)을 줄여야 한다.
10. 應擧(응거)
勿牽得失之念居易俟命(물견득실지념 거이사명)
科擧(과거)에 응시해서는 그 得失(득실)에 얽매이지 말고
平易(평이)하게 행하면서 天命(천명)을 기다려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