民俗信仰(민속신앙)

윷의 由來와 윷점

華谷 2015. 7. 6. 16:28

 

 

 

윷의 由來와 윷점

 

윷놀이와 천문도

윷놀이는 한반도 곳곳의 암각화를 비롯해 고인돌등에서 발견되는 것을 볼때

이미 고조선시대 부터 전해 내려오는 韓(한)민족의 전통놀이로서

천문도와 우주이치를 설명한 것이다.

우리놀이 문화속에 우리 선조들은 우리들에게

세상의 이치를 심어 놓았으니 얼마나 배려가 깊은가.

또한 이 윷놀이는 정월 대보름 밤에 점치는 용도로도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윷놀이는 東夷族(동이족)이 아메리카로 이동하여 정착한

아메리칸 인디언의 윷놀이와도 일치하고 마야족의 불(bul)게임과

아즈텍의 파톨리 게임과도 유사하여 우리의 문화가 얼마나

멀리까지 전해졌으며 우수한 문화인지 알수 있다.

 

윷의 유래와 윷점

윷놀이는 한웅천왕 시절 한역의 움직임을 가르치기 위하여

신지혁덕에게 명하여 만든 놀이로 柶戱(사희)라고 하였다.

즉 북극오성은 윷이 되고,놀이판은 29수 별자리가 된다.

29수는 동방5수,서방5수,남방5수,북방5수로 나누고,

사각의 공간에 열십자로 된 대각선 하나가

곤방인 서남방에서 간방인 동북방으로 가로지르고,

다른 하나는 건방인 서북방에서 손방인 동남방으로 가로지른다.

28수 별자리에서 북극성을 추가하여 29성이 된다.

28수 별자리 위를 북극오성이 운행하도록 만든 것이

바로 윷말의 도.개.걸.윷.모이다.

윷놀이가 정초에 행해 졌으며 그 결과 또한 천차만별로 나오는 만큼

옛 선조들은 윷을 던져 나오는 결과로 점을 치기도 하였다.

원래 시작은 점을 보기 위함보다는 젊은이들에게 윷을 던지게 하고

그 결과에 따라 웃어른들이 덕담을 해주는 것이 시작이었다.

현재에 명맥이 이어 지지는 않으나 18세기말 유득공이 지은

경도 잡지에 그 내용이 소개가 되어 있다.

점을 보기 위해서는 윷을 세 번 던지며 그 결과에 따라 64개의 결과가 나오게 된다.

이는 주역의 64괘와 같은 숫자로 주역이 한역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윷으로 점치는 법

윷놀이는 주역처럼 개인의 1년 운수를 점칠 수 있는 하나의 점술이다.

윷을 세번 던져 떨어진 결과로 64가지 점괘를 만들어

주역의 占辭(점사)를 보고 점을 친다.

점을 치는 방법은 윷을 세 번 던져 그 결과를 차례로 적어

이에 해당하는 점사를 읽는 것이다.

예를 들어,

첫 번째 던진 윷이 도,

두 번째 던진 윷이 개,

세 번째 던진 윷이 걸이 나면‘도.개.걸'괘를 찾아 점사를 읽으면 된다.

단,모와 윷은 같은 것으로 본다.

이 때 윷을 던지기 전에 마음을 정갈하게 하고

하늘에 비는 마음으로 순수하게 하고 1년 운수를 보여주십시오

하는 마음으로 던져야 정확성이 높다. 마치 주역 64괘 점을 치는 것과 같다.


윷점은 정월 대보름날 밤에 쳐야 제대로 점복이 들어 맞는다고 한다.

이는 옛날부터 달을 신격시 했던 우리 민족의 사상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도도도:兒見慈母(아견자모)- 어린아이가 어진 어미에게서 나다

어린아이가 포근하고 편안한 어머니를 만나듯,

힘들고 어려운 일이 끝나고 앞날이 편안해 진다는 의미로 만사형통이다.

 

도도개:鼠入倉中(서입창중)-쥐가 헛간에 들다

헛간은 곡식 등을 보관하는 장소로 쥐가 창고에 드는 것은

집안의 재물이 조금씩 빠져 나가는 형국으로 손재수 조심

 

도도걸:昏夜得燭(혼야득촌)- 깊은 밤에 촛불을 얻다

어려운 상황에서 귀인의 도움을 받아

뜻한 일이 잘 풀려나가는 형국이나 서두르면 실패할 수 있다. 

 

도도윷:蒼蠅遇春(창승우춘)-파리가 봄을 만나다

봄철은 파리에게는 먹을거리가 충분하지 않으나

앞으로 차차 좋아질 것이란 의미로 서두루지 말고 여유를 가지면 좋아진다.

 

도개도:大水逆流(대수역류)-큰 물줄기가 거꾸로 흐르다

큰 물줄기가 거꾸로 흐르는 것은 어려운 일을 시작한다는 의미로,

이것을 극복하면 크게 성공을 이룰 수 있다.

잉어가 큰 물줄기를 거슬러 올라가서 등용문에 다다르는 이치이다.

 

도개개:罪中立功(죄중입공)-죄를 저지르다 공을 세우다

자신이 의지와 다르게 뜻하지 않는 횡재를 얻을 수 있는 징조이다.

 

도개걸:飛蛾撲燈(비아박등)- 나비가 등잔을 친다

나비는 부부간의 화합과 평안한 의미를 가지는 상징물인데,

무리하게 욕심을 부리다가 궁지에 빠질 징조이다.

지나친 욕심은 삼가는 것이 좋다

 

도개윷:金鐵遇火(금철우화)- 쇳덩이가 불을 만나다

쇠가 불을 만났을 때 비로써 생활용구로 탈바꿈 할 수 있다.

올 한해 자신을 희생하면 좋은 기회와 결과가 온다는 의미 

 

도걸도:鶴失羽翼(학실우익) -학이 날개를 잃다

학이 날개를 잃는 것은 날지 못한다는 의미로 뜻한 바는 있으나

잘 이루어지지 않을 징조이다. 망신살 조심

 

도걸개:飢者得食(기자득식)- 굶주린 이가 식량을 얻다

어려운 경제 사정이 펴질 징조이다. 하는 일들이 순조롭게 잘 풀린다.

 

도걸걸:龍入大海(용입대해)- 용이 큰 바다에 든다

용이 사는 곳은 물이 많은 큰 바다로 자신이 가진

역량을 마음껏 펼칠수 있는 기회로 금년에 소망을 모두 이룰 징조이다.

 

도걸윷:龜入筍中(구입순중)- 거북이가 대밭에 들다

거북이는 물가에 사는 동물인데 대나무밭에 들어간다는 것은

힘들고 어려운 환경으로 바뀔 징조이다. 


도윷도:樹木無根(수목무근)- 나무가 뿌리가 없다

뿌리가 없는 나무는 죽음을 의미하듯이, 곧 하는 일이 실패한다는 의미다.

즉,대인관계를 원만히 하고 신용과 의리를 지켜 자신의 위치를 튼튼하게 해야 한다.

 

도윷개:死者復生(사자부생)- 죽은 이가 다시 살아나다

기적 같은 일이 일어나 어려운 처지를 벗어나게 도와준다.

 

도윷걸:寒者得衣(한자득의)- 추운 이가 옷을 얻다

귀인의 도움으로 어려움을 헤쳐 나갈 수 있는 좋은 운세이다.

 

도윷윷:貧入得寶(빈입득보)- 가난한 이가 보배를 얻다

가난한 살림에서 많은 재물을 얻는 형국이다.


개도도:日入雲中(일입운중)- 해가 구름 속에 들다

자신이 뜻한 바가 남의 훼방으로 이루어지지 못할

운세로 주변사람과 잘 지내야 한다.

 

개도개:淋天見日(임천견일)- 장마 중에 해가 보이다

모두 다 어려운 처지지만 본인에게는 좋은 일이 생길 운세이다.

 

개도걸:弓失羽箭(궁실우전)- 활이 화살을 잃도다

사소한 실수로 큰일을 망칠수 있는 불길한 형국이다.

 

개도윷:鳥無羽翰(조무우한)- 새의 날개가 없다

자신이 뜻한 바가 주변의 도움이 없어 잘 이루어지지 않을 징조이다.


개개도:弱馬砧重(약마침중)- 약한 말이 짐이 무겁다

미리미리 모든 일을 준비하지 않으면

큰 낭패를 볼 수 있는 형국으로 유비무환이다.

 

개개개:鶴登于天(학등우천)- 학이 하늘에 오르다

자신의 희망과 의지가 이루어질 징조이다.소원성취 운세

 

개개걸:飢鷹得肉(기응득육)- 굶주린 매가 고기를 얻다

오랜 고생 끝에 계획한 일들이 성공을 할 운세이다.

 

개개윷:車無兩輪(거무양륜)-수레가 양쪽 바퀴가 없다.

뜻한 바는 있지만 도와주는 이가 없어 잘 이루어지 않는

형국으로 대인관계를 원만히 할것 

 

개걸도:嬰兒得乳(영아득유)-어린 아이가 젖을 물다. 

올 한해 풍족하고 편안하게 살 징조이다.먹을 복이 있다.

 

개걸개:重病得藥(중병득약)- 깊은 병에 약을 얻다

어렵고 힘든 상황에서 귀인을 만나 뜻한 바가 이루어지는 형국이다.

 

개걸걸:蝴蝶得花(호접득화)- 나비가 꽃을 얻다

자신이 뜻한 바가 모두 원만하게 이루어질 징조이다.

총각은 곧 사랑을 얻게 되고,취업을 앞둔 사람은 곧 취직을 하게 된다.

 

개걸윷:弓得羽箭(궁득우전)- 활이 살을 얻다

자신이 계획한 일이 만사형통한다는 의미로 대길하다.


개윷도:拜見疎賓(배견소빈)- 드믄 손과 절을 하여 만나다

하늘의 도움으로 나에게 도움을 줄 귀인을 만날 징조이다.

 

개윷개:河魚失水(하어실수)-물고기가 물을 잃다.

물이 없으면 물고가 살 수 없듯이 어려고 힘든 일이 많이 생길 징조이다.

평소에 많은 덕을 베풀어야 한다.

 

개윷걸:水上生紋(수상생문)- 물 위에 물결이 생기다

귀찮은 일이 많이 생길 징조이다.

스캔들에 시달릴 수도 있으니 언행을 조심해야 한다.

 

개윷윷:龍得如意(용득여의)- 용이 여의주를 물다

자신이 뜻한바가 마침내 이루어지고 크게 성공한다는 의미.


걸도도:大漁入水(대어입수)- 큰 물고기가 물에 들다

올 한해 사업이 번창하여 많은 재물이 들어 올 징조이다. 

 

걸도개:炎天贈扇(염천증선)-더위에 부채를 얻다

더운 날에 부채를 얻는 것은 어려움 속에서

귀인의 도움으로 모든 일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징조이다.

 

걸도걸:蟄鷹無爪(칩응무조)-매가 발톱이 없다.

매가 발톱이 없는 것은 제대로 사냥을 할 수 없다.

뜻한 일이 제대로 풀리지 않을 징조이다.

 

걸도윷:擲珠江中(척주강중)- 강에 구슬을 던지다

어렵게 얻은 성과를 쉽게 잃어버릴 징조이다.

사소한 실수를 조심해야 한다.


걸개도:龍頭生角(용두생각)- 용에 뿔이 나다

모든 것이 순리대로 제대로 이루어진다는 만사대길의 의미.

 

걸개개:貧而且賤(빈이차천)- 가난하고 천하다

생활이 어려워지고 신분이 낮아진다는 의미로 실패수를 조심해야 한다.  

 

걸개걸:貧士得錄(빈사득록)- 가난한 선비가 녹을 얻다

공무원 시험에 합격하거나 승진할 운세를 말함. 

 

걸개윷:猫兒逢鼠(묘아봉서)- 고양이가 쥐를 만나다

모든 것이 순리대로 이루어지니 온갖 재물이 굴러들어 온다는 의미.


걸걸도:魚變成龍(어변성룡)- 고기가 변하여 용이 되다

노력 끝에 큰 소원이 이루어지고 높은 관직에 오르는 형국이다.

 

걸걸개:牛得草豆(우득초두)- 소가 여물과 콩을 얻다

올 한 해 재물과 식복이 많이 들어 올 징조이다

 

걸걸걸:樹花成實(수화성실)- 나무 꽃에 열매가 맺다

계획한 일들이 드디어 결실을 맺을 징조이다.

 

걸걸윷:沙門還俗(사문환속)- 중이 속인이 되다

지금 하는 일과 전혀 다른 일을 하거나 환경이 급변할수 있는 징조이다.


걸윷도:行人思家(행인사가)- 가던 이가 집을 생각하다

계획한 일 중간에 근심과 어려움이 생길 징조이다.

 

걸윷개:馬無鞭策(마무편책)-말에 채찍이 없다

큰일을 이루고자 시작하였으나 주변 환경이 잘 도와 주지 않는 형국이다

 

걸윷걸:行人得路(행인득로)-가던 이가 길을 얻다

손쉽게 뜻한 바를 이룰 수 있는 형국이다.

 

걸윷윷:日照草露(일조초로)- 해가 이슬을 비추다

귀인의 상을 타고 나 하늘의 도움으로 뜻한 일이 이루어질 징조이다.


윷도도:父母得子(부모득자)- 부모가 아들을 얻다

평생 뜻한 소망이 이루어질 징조이다.

 

윷도개:有功無償(유공무상)- 공을 세우나 상이 없다

별 소득 없이 한 해가 바쁠 징조이다.실속 없이 바쁘기만 하다.

 

윷도걸:龍入深淵(용입심연)- 용이 깊은 못에 들다

자신이 뜻한 바를 이룰수 있는 시기와 장소를 만나 소원을 이루는 형국이다

 

윷도윷:盲者直門(맹자직문)-소경이 문으로 바로 들어가다

많은 어려움이 있어도 모든 일이 우연찮게 뜻대로 이루어질 운세이다.


윷개도:暗中見火(암중견화)- 어둠 속에서 불을 보다

좋은 소식을 들을 운세이다.

 

윷개개:人無手臂(인무수비)- 사람이 손과 팔이 없다

노력에 비해 결과가 항상 미흡하여 수확이 적다는 운세이다.

 

윷개걸:利見大人(이견대인)- 대인을 보는 것이 이롭다

큰 뜻을 가진 사람과 교류를 할 운세이다.

 

윷개윷:角弓無弦(각궁무현) -각궁이 시위가 없다

계획한 일이 있으나 실행시 항상 하나씩 부족하여

일이 제대로 풀리지 않는 운세이다.


윷걸도:耳邊生風(이변생풍)-귓가에 바람이 생기다

불길하고 나쁜 소리를 들을 운세이다.

 

윷걸개:稚兒得報(치아득보)- 어린아이가 보배를 얻다

일찍 많은 재물을 얻어 은혜를 갚고 편안하게 지낼 형국이다.  

 

윷걸걸:得人環失(득인환실)-사람을 얻었으나 다시 잃다

의리와 신의를 지켜야만 친구를 잃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대인관계를 신중히 할 것

 

윷걸윷:亂而不吉(난이불길)-어지러워 길하지 않다

좋지 않은 일이 발생할 형국이니 만사를 조심해야 한다. 


윷윷도:生事茫然(생사망연)-일이 망연하다

모든 일이 제대로 이루어지 않을 형국이니 참고 기다려라. 

 

윷윷개:魚呑釣鉤(어탄조구)- 고기가 낚시 바늘을 물다

순조롭게 자신이 뜻한 바가 이루어질 형국이다.

 

윷윷걸:飛鳥遇人(비조우인)-날던 새가 사람을 만나다

뜻하지 않게 방해꾼이 나타나 계획한 일을 서두르게 하는 형국이다.

 

윷윷윷:哥哥得弟(가가득제)- 형이 아우를 얻다

집안에 동생이 태어나거나,사회에서 나를 따르는 무리들이 생기는 형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