솟대와 오리
솟대와 오리
솟대란 나무와 돌로 만든 오리를 나무나 장대위에 앉힌 신의 상징물로서
마을에서 정월대보름날 마을 굿이나 동제를 모실적에
마을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기 위해 마을 입구 등에 세우는것을 말합니다.
솟대의 시작은 환웅천황이 신시를 열면서 천신을 모시기 위하여
만든 소도에 세운 신의 상징물로 엄숙하고 성스러운 곳이라는 뜻입니다.
솟대를 세운곳은 신성한 곳으로 여겨 죄인이 들어와도 잡아가지 않았습니다.
특히 소도에는 많은 박달나무를 심었는데 그중 가장 큰 나무를 골라 환웅의 상 즉,
웅상이라고 부르며 방울북을 매어 달면서 솟대가 시작되었습니다.
예전에는 솟대 또한 무교와 함께 미신풍조라는 뜻으로 그 가치가
폄하되어 보기가 힘들었지만 요즘은 많은 곳에서 솟대를 세우고
또한 장식물로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솟대를 신성시하는 역사는 북아시아 여러 나라에서 공통되게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청동기 시대의 제기에도 나뭇가지나 기둥에 새를 앉힌 조형물이나
문양이 발견됩니다.
이처럼 넓은 지역에서 또 청동기 시대까지 올라가는 시간성은 솟대가
고대 마고 삼신시대에서 부터 시작된 신앙으로 동이족들이
북아시아 전 지역으로 이동하면서 자연스럽게 퍼져나간 보편적인
신앙 요소임을 짐작할수있습니다.
솟대는 세 가닥의 나무 가지에 반드시 오리 세마리가 앉아 있습니다.
예전에는 그 새가 오리가 아니고 다른 새라는 설도 있었으니
지금은 오리라는 것이 정설로 굳어져 전부 오리로 알고 있고
그렇게 만들고 있습니다.
새는 우리민족과 아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새에 대한 신앙 자체도 청동기시대에 들어서 본격적으로 성립되었다고 할수 있다.
청동기 시대 왕들의권위와 신성성을 부여받기 위해서 새가 천신과 왕 사이를
오가는 매개체의 역활을 하였으며 그 결과 우리 건국 신화 중에서
새의 알에서 태어 났다는 난생설화를 많이 탄생시켰다.
그리고 새는 인간의 儀式(의식)이나 종교생활에도 널리 사용되어 왔다.
인간들이 새를 동경하게 된것은 바로 새가 지니고 있는 날개의 역할이다.
새의 날개는 이승과 저승을 오갈수 있는 수단이므로
새는 영매자의 역할을 한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단군시대의 구성원중 가장 큰 부족들은 九加라고 하는데
그 중 새의 이름을 딴 鶴加,鷹加,鷺加(학가.응가.노가) 있다는 것만 봐도
새에 대한 외경심을 알수가 있습니다.
새가 지니는 상징은 새마다 다릅니다.
기러기는 혼례때 사용되고 있으며 한번 짝을 맺으면 평생동안
지조를 지키는 정절의 새로 여기고 있습니다.
까치는 헤어진 사람을 만나게 해준다고 믿고 있으며
동시에 까막까치는 저승길을 인도하는 저승사자를 나타내기도 합니다.
꿩은 남을 존경할줄 아는 새로,닭은 귀신을 쫒는 새로,
매는 풀지 못한 일을 해결해주는 새로, 박쥐는 복을 주고
자손을 번성하게 해주는 새로, 부엉이는 좋은일이 생길것을
알려주는 길조로, 비둘기는 금술 좋은 다정한 부부의 상징으로 ,
올빼미는 재앙을 예견하는 새로, 제비는 인간 세상에 내려온 신의 사자로,
학은 고고한 인품을 지닌 선비를 상징하기도 합니다.
우리민족과 특별한 관계를 지낸 새가 바로 까마귀로
보통 효성스런 새로 믿고 있지만 태양을 상징하는
새로 삼족오가 있습니다.
제주도는 까마귀가 강남차사의 심부름꾼으로 인간세상에
수명을 전해주는 冥府(명부)의 새로 등장하기도 한다.
서양에선 흑색까마귀는 음양을 상징하는 흉조라고 믿으며
적색이나 금까마귀는 태양과 효도를 상징하기도 한다고 한다.
오리는 우리 솟대에 앉아있는 신의 새로 알고 있다.
그럼 왜 많은 새 중에서 오리를 솟대에 앉혔을까
하는 의문이 가지 않을수 없다.
오리는 오리과의 작은 물새를 통틀어 말한다.
일부 텃새도 있지만 대개는 가을에 북쪽에서 번식해 우리나라로
이동해 오는 겨울 철새인 동시에 다산성을 지닌새다.
오리가 지닌 물새.철새.다산성은 여러가지 종교적 상징성을 갖는다.
또 오리는 전형적인 물새이며 잠수조다.
이 잠수능력은 수계나 지하세계와 관련한 중요한 종교적 의미가 있다.
곧 물새는 하늘,땅,물을 그 활동영역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일반 들새나 산새보다도 종교적 상징성을 지니기에 충분합니다.
또한 오리는 물과의 밀접한 관련성으로 비와 천둥을 지배하는 천둥새
속성을 지님과 동시에 오리의 꽥꽥거리는 울음소리 때문에
야크트족은 오리는 청둥새,곧 철로 만든새라고 여겼습니다.
이렇게 천둥새로서의 오리는 벼농사를 위주로 하는 농경 마을에서는
비를 가져다주는 농경신으로 정착되었으며, 전형적인 물새이며
잠수조이기 때문에 홍수에서도 살아남을 수 있는 불사조로도 생각되었다.
철새는 계절이 바뀌는 변화를 암시해 주고 초자연적인 세계로의
여행을 의미하여 산자와 죽은자의 세계를 넘나드는
영혼의 순환적 여행을 뜻 하기도 한다.
철새는 이승과 저승을 오가는 인간과 신의 중계자로서
신앙의 대상이 될수 있는 새였다.
즉 오리는 이승과 저승을 그리고 인간의 세계와 신의 세계를
넘나드는 신의 매개체라 생각했던 것이다.
그리고 철새인 오리가 갖는 주기성이 농경에 절대 필요한
비를 가져다주는 것으로 생각했다.
솟대위의 오리를 정남향으로 앉쳤는데
이것은 오리가 남쪽에서 비를 몰고 온다는 믿음 때문이다.
이러한 종교적인 상징성 이외에도 오리가 중요한 의미를 가진 새로
새중에 으뜸으로 여겼다는 증거가 오리를 한자로 압(鴨)이라고
부르는데서 알 수가 있다.
즉 오리는 새중에서 가장 으뜸 또는 첫번째라는 뜻으로 역법에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주기인 육십갑자의
첫머리인 甲자를 새 앞에도 붙였다.
그 이유는 바로 오리가 신시의 상징인 소도에 있는
솟대에 앉아 있기 때문이라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