命理學(명리학)

推命歌(추명가) 2.

華谷 2016. 2. 6. 00:45



 推命歌(추명가) 2.

선조, 부모, 형제
天人地(천인지)가     三才(삼재)되어  宇宙構成(우주구성)  되어있고

年月日時(년월일시)  四柱(사주)되어  吉凶禍福(길흉화복)  이루었네
根苗花實(근묘화실)  이原理(원리)로  世上萬事(세상만사)  進行(진행)되며

五行制化(오행제화)  生剋(생극)으로  千態萬象(천태만상)  變化(변화)한다.
生年宮(생년궁)은     根基先祖(근기선조)  生月宮(생월궁)은  父母苗(부모묘)요

生日宮(생일궁)은     己身花(기신화)요  生時宮(생시궁)은  妻子(처자)로다.
生年生月(생년생월)  刑沖(형충)하면  父祖間(부조간)에  各居(각거)했고

生日宮(생일궁)이     生月刑沖(생월형충)  抛離故基(포리고기)  하게된다.
年入地殺(년입지살)  놓은者(자)는  東西奔走(동분서주)  他鄕(타향)이요

生日地殺(생일지살)  만난者(자)도  역시고향  떠나산다.
四柱驛馬(사주역마)  重重地殺(중중지살)  異驛萬理(이역만리)  遍踏(편답)하고

年月水汪(년월수왕)  壬癸日生(임계일생)  他道他國(타도타국)  살아본다.
亥子年月(해자년월)  甲乙日生(갑을일생)  海雲萬里(해운만리)  나가보고

日柱基準(일주기준)  驛馬地殺(역마지살)  그도 祖基(조기)  떠나산다.
驛馬地殺(역마지살)  日主合(일주합)은  房外車中(방외차중)  出生(출생)이요

若不基然(약불기연)  病院出生(병원출생)  틀림없는 사실이다.
歲月天干(세월천간)  官財印(관재인)은  富貴家門(부귀가문)  자랑하고

歲月天干(세월천간)  逢傷官(봉상관)은  父祖代(부조대)에  敗業(패업)일세
生年宮(생년궁)에     傷官食神(상관식신)  華盖星(화개성)이  俱臨(구림)하니

祖母(조모)님이        佛信者(불신자)로  釋迦尊下(석가존하)  念佛(염불)이라.
年月支(연월지)에 印綬華蓋(인수화개) 慈堂(자당)님이 信者(신자)로서

萬壽香(만수향)을 피어놓고 子孫富貴(자손부귀) 祈願(기원)한다
生年華蓋(생년화개) 生日華蓋(생일화개) 胎(태)줄목에 걸고 낳고

正偏財(정편재)가    逢空(봉공)하니 祈禱子孫(기도자손) 분명하다.
日剋歲君(일극세군) 하는者(자)는 以臣伐君(이신벌군) 有禍(유화)하고

歲傷日干(세상일간) 하는者(자)는 有禍(유화)로되 輕(경)하도다.
傷官食神(상관식신) 疊疊(첩첩)하니 重拜祖母(중배조모) 있게 되고

偏正印綬(편정인수) 混雜(혼잡)되면 生母庶母(생모서모) 繼母(계모)로다.
傷官星(상관성)이    逢白虎(봉백호)는 祖母産亡(조모산망) 있게 되고

印綬星(인수성)이    白虎殺(백호살)은 母親産亡(모친산망) 血光死(혈광사)라.
印綬星(인수성)이    逢刑(봉형)하면 基母不具(기모불구) 呻吟(신음,끙끙거리며읊는다)이요

그런일이 없게되면 일찍母親(모친) 凶死(흉사)한다.
正偏財(정편재)가    日月相合(일월상합) 生秦事楚(생진사초) 못면하고

月逢桃花(월봉토화) 亡身殺(망신살)은 後妻所生(후처소생) 그아닌가.
生月財星(생월재성) 놓게 되면 그父親(부친)이 頑固(완고)하고

正印星(정인성)이 作合(작합)하니 母外有情(모외유정) 再家(재가)하네.
偏印星(편인성)이 作合(작합)하니 그대祖父(조부) 風流氣(풍류기)요

傷官食神(상관식신) 作合(작합)하니 祖母(조모)님이 不正(부정)했소.
印臨絶地(인임절지) 衰病死(쇠병사)는 母親殘疾(모친잔질) 있게되고

財印身合(재인신합) 되는 命(명)은 母家再娶(모가재취) 再婚(재혼)이라.
財印二德(재인이덕) 帶冠旺生(대관왕생) 基母賢淑(기모현숙) 하게되어

四時長春(사시장춘) 靑靑(청청)하니 그家門(가문)은 興旺(흥왕)한다.
正偏財(정편재)가 混雜(혼잡)하니 異腹(이복)고모 叔伯(백숙)있고

正財星(정재성)이 暗合(암합)하면 그姑母(고모)가 바람났소.
正財星(정재성)이 白虎殺(백호살)은 姑母叔父(고모숙부) 血光死(혈광사)요

偏財星(편재성)이 白虎殺(백호살)은 그父親(부친)이 血光死(혈광사)라.
偏財星(편재성)이 逢刑財殺(봉형재살) 그父親(부친)이 橫厄(횡액)인데

地殺驛馬(지살역마) 加臨(가임)하면 拉致監禁(납치감금) 父親(부친)이라.
甲辰日(갑진일)과 乙未日生(을미일생) 基父親(기부친)이 世上(세상)뜰때

自殺橫死(자살횡사) 病院死(병원사)니 臥席終命(와석종명) 못하리라.
印綬太旺(인수태왕) 偏財弱(편재약)은 父親(부친)얼굴 삭막하고

印綬逢空(인수봉공) 梟神殺(효신살)은 幼失慈母(유실자모) 可憐(가련)하다.
幼失慈母(유실자모) 아니하면 庶母養母(서모양모) 奉養(봉양)있어 兩家奉祀(양가봉사)

하게되니 이것또한 운명일세.
財星食神(재성식신) 同臨合(동임합)은 丈母奉養(장모봉양) 하게되고

月逢養生(월봉양생) 태어난몸 他家(타가)집에 자라난다.
四柱中(사주중)에 多財者(다재자)는 早年剋親(조년극친) 하게되고

財星臨絶(재성임절) 比劫多(비겁다)는 遺腹童(유복동)이 신세로다.
日月地支(일월지지) 刑殺(형살)이면 父母臨終(부모임종) 難(난)하고요

財臨殺地(재임살지) 놓은者(자)는 基父親(기부친)이 客死(객사)로다.
日月(일월)간에 沖怨嗔(충원진)과 從財格(종재격)에 透印綬(투인수)는

처와母(모)가 不合(불합)하여 밤낮姑婦(고부) 싸움이다.
月中傷官(월중상관) 比劫多(비겁다)는 兄弟數多(형제수다) 하지마는

官殺病死(관살병사) 臨絶墓(임절묘)는 兄弟孤獨(형제고독) 못免(면)한다.
日月間(일월간)이 刑沖(형충)하면 兄弟間(형제간)에 友愛(우애)없고

比肩劫(비견겁)이 作合(작합)하니 姉妹不正(자매부정) 分明(분명)하다
比肩劫(비견겁)이 連坐(연좌)하니 異雁作陳(이안작진) 있게되고

五干化身(오간화신) 肩劫星(견겁성)도 異腹兄弟(이복형제) 免(면)할소냐.
財星逢空(재성봉공) 白虎殺(백호살)은 兄弟嫂(형제간)에 凶事(흉사)있고

比肩劫(비견겁)에 刑白虎(형백호)는 姉妹兄弟(자매형제) 血光死(혈광사)라.
比肩劫(비견겁)에 正偏財(정편재)는 兄弟之間(형제지간) 再娶(재취)있고

比肩劫(비견겁)에 食傷多(식상다)는 姉妹寡婦(자매과부) 설움이라.
官殺白虎(관살백호) 食傷多(식상다)는 그妹夫(그매부)가 血光死(혈광사)요

正偏財(정편재)에 白虎殺(백호살)은 妻男(처남)형제 비명이다.
正偏財(정편재)가 混雜(혼잡)하니 姉妹媤母(자매시모) 두분이요

比肩劫(비견겁)이 無官殺(무관살)은 그姉妹(자매)가 冷房(냉방)일세.
印星丑戌(인성축술) 相刑殺(상형살)은 基祖父(기조부)가 牛犬被傷(우견피상)

白虎戌中(백호술중) 偏財刑沖(편재형충) 基父親(기부친)이 咬犬死(교견사)라.
驛馬地殺(역마지살) 刑沖印(형충인)은 慈母鐵馬(자모철마) 橫厄(횡액)이요

印星逢刑(인성봉형) 比劫多(비겁다)는 基母手術(기모수술) 産厄(횡액)이라.
甲乙日生(갑을일생) 酉戌時(유술시)와 丙丁巳未(병정사미) 戊己寅卯(무기인묘)

庚申辛亥(경신신해) 壬癸酉戌(임계유술) 養父二母(양부이모) 계모로다.
丙子丁丑(병자정축) 戊寅日(무인일)과 丙午丁未(병오정미) 戊申日(무신일)은

陰着陽錯(음착양착) 그殺(살)로서 外叔零落(외숙영락) 하게되네.
辛卯壬辰(신묘임진) 癸巳日(계사일)과 辛酉壬戌(신유임술) 癸亥日(계해일)도

亦是陰着(역시음착) 陽錯(양착)되어 外三寸(외삼촌)이 그립구나.
出生時(출생시)에 差錯殺(차착살)은 妻男孤獨(처남고독) 못免(면)하고

妻家(처가)집에 不合(불합)하여 日久月深(일구월심) 걱정되네.


재난, 질병
鐵窓監房(철창감방) 拉致(납치)된몸 四主囚獄(사주수옥) 刑殺(형살)있고

重重破軍(중중파군) 月印星(월인성)은 革命亡命(혁명망명) 있어본다.
辰戌日生(진술일생) 命逢巽乾(명봉손건) 그도한번 監禁(감금)있고

巳亥日生(사해일생) 柱逢巽乾(주봉손건) 亡命監禁(망명감금) 當(당)해본다.
癸丑癸未(계축계미) 癸巳日生(계사일생) 甲寅時(갑인시)를 만난者(자)는

路上橫厄(노상횡액) 負傷(부상)이니 酒色車馬(주색차마) 조심하소.
地殺馬刑(지살마형) 食財殺旺(식재살왕) 交通事故(교통사고) 두렵고요

戊己日生(무기일생) 金水木旺(금수목왕) 橫死溺死(횡액익사) 可憐(가련)하다.
日主湯火(일주탕화) 刑穿殺(형천살)은 彈丸破片(탄환파편) 負傷(부상)있고

丙申日生(병신일생) 無格身衰(무격신쇠) 傷痍勇士(상이용사) 흔히본다.
春生亥子(춘생해자) 夏卯未日(하묘미일) 秋生寅戌(추생인술)

冬丑辰日(동축진일) 神經痛(신경통)에 呻吟(신음)인데 殺旺(살왕)하면 다리저네.
正寅二卯(정인이묘) 三申四丑(삼신사축) 五戌六鷄(오술육계) 七龍八蛇(칠용팔사)

九馬十羊(구마십양) 至亥臘子(지해납자) 이도또한 脚不具(각불구)라.
戊午日生(무오일생) 태어난몸 年月辰酉(년월진유) 具全(구전)한者(자)

戊日生人(무일생인) 三傳三刑(삼전삼형) 자극자극 절게되네.
子日酉年(자일유년) 丑日午年(축일오년) 寅未申卯(인미신묘) 年日對立(연일대립)

亥파辰兮(해파진혜) 戌파巳(술파사)는 精神異常(정신이상) 걸려보오.
木日主(목일주)나 火日主(화일주)가 甚(심)히衰弱(쇠약) 하게되면

白日靑天(백일청천) 昏暗(혼암)하여 精神衰弱(정신쇠약) 앓아본다.
七八九月(칠팔구월) 木丑戌日(목축술일) 다시財殺(재살)

身弱者(신약자)와 甲日夏月(갑일하월) 木枯操(목고조)도 失明(실명)되어 더듬는다.
丙申子辰(병신자진) 戌日生人(술일생인) 多時辛壬(다시신임) 하나보고

四柱財殺(사주재살) 있게되면 三脚行步(삼각행보) 하게되네.
亥月生人(해월생인) 戊己日生(무기일생) 다시財殺(재살) 結局(결국)하면

執杖叩地(집장고지) 하게되니 左往右往(좌왕우왕) 걸음이라.
四柱中(사주중)에 丁巳(정사)놓고 壬癸日主(임계일주) 太旺(태왕)하면

眼昏日暈(안혼일운) 하게되니 靑盲(청맹)될까 염려되네.
甲己日(갑기일)에 見巳(견사)하고 乙庚子合(을경자합) 丙辛見候(병신견후)

丁壬見戌(정임견술) 戊癸水土(무계수토) 溺水之厄(익수지액) 있어본다.
寅卯夏月(인묘하월) 그사람이 日柱庚寅(일주경인) 午戌(오술)이면

痔疾盲腸(치질맹장) 腸窒扶斯(장질부사) 事前注意(사전주의) 必要(필요)하오.
辛卯巳未(신묘사미) 生日人(생일인)이 寅卯夏月(인묘하월) 出生(출생)해도

亦是痔疾(역시치질) 盲腸(맹장)으로 呻吟(신음)함이 있게된다.
戊己日生(무기일생) 多水木金(다수목금) 脾胃(비위)(지라,밥통)약해 걱정되고

庚辛日生(경신일생) 多逢火(다봉화)는 喘息(천식)血疾(혈질) 咳嗽(해수)기라.
壬癸日柱(임계일주) 多逢火土(다봉화토) 痔疾淋疾(치질임질) 鼻塞氣(비색기)요

甲乙日生(갑을일생) 多逢金(다봉금)은 筋痛骨痛(근통골통) 呻吟(신음)있네.
寅巳午未(인사오미) 戌月生人(술월생인) 甲乙寅午(갑을인오) 巳未戌日(사미술일)

咳嗽喘息(해수천식) 基疾病(기질병)에 恒常(항상)골골 하게되오.
金木星(금목성)이 十至月(십지월)은 酒風中風(주풍중풍) 滯症(체증)있고

鼻塞氣(비색기)가 있게되니 恒時過飮(항시과음) 注意(주의)하소.
火旺四柱(화왕사주) 金日柱(금일주)는 두드러기 腫氣之疾(종기지질)

木火日柱(목화일주) 太弱(태약)하면 癎疾風病(간질풍병) 두렵구나.
四柱挑花(사주도화) 逢刑者(봉형자)와 滾浪(곤랑)도화 만난者는

痔疾淋疾(치질임질) 梅毒膀胱(매독방광) 呻吟(신음)함이 있게되오.


무기일약 지지형은 위장수술 있어보고 사주중에 김수냉은 소변자주 보게된다.
사주염상 수화상전 수목일생 다수목은 늦게까지 잠자리에 오줌싸게 된답니다.
삼동춘생 임계일생 그日柱가 심냉한데 사주중에 부견화는 이롱해수 풍질이요.
식신형충 재성봉충 기생충이 많이 있고 수토일주 실도하면 변비설사 당뇨로다.
화일주가 융융한데 사주무수 하게되면 인건구조 타불족해 소화부량 틀림없다.
사주중에 형충살은 자라날 때 몹시울어 부모애를 태워주니 부모노고 배곱이라.
정사칠십 인미시와 자오묘유 미일시는 소아시에 야제심해 부모걱정 많았도다.
사계월에 유일시는 춘오하유 추자동묘 그도또한 밤자리에 몹시울고 자라났다.
자오생인 묘유시는 묘유생인 자오시는 개에한번 물려보니 맹견주의 해야되오.
인신생이 사해시와 사해생이 인신시는 진술생이 축미시도 역시구교 있어보고.
축미생이 진술시와 축미술일 주봉술도 광견맹견 물리우니 항시견구 주의하소.

'命理學(명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六甲神(육갑신)  (0) 2016.03.17
太極圖說(태극도설)周敦頤  (0) 2016.02.12
推命歌(추명가) 1.  (0) 2016.02.03
박도사 因緣法(인연법)   (0) 2015.12.30
六神論(육신론)   (0) 2015.1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