生活倉庫(생활창고)

立春榜(입춘방)

華谷 2016. 10. 12. 11:01

 

 

 

 

                                                                                               △바르게 붙인 立春榜

 

 

立春榜(입춘방)은 대체로 八字형태의 左立春.右建陽으로 붙입니다.

八字형태는 위로 오르는,飛上(비상)을 의미한다고 합니다.


 

立春榜(입춘방)

입춘날 입춘 절입시에 대문이나 중문. 곳간문.기둥. 축사등에

써 붙이는 글귀로 立春帖.立春祝.立春書라고도 한다.

對句와 短句가 있고 자신이 만들어 쓰는 기원문이 있다.

그 내용은 복을 나타내는 글귀나 행운과 행복을 염원하는 글 들이다.

喪家(상가)나 3년상이 있는 집에서는 立春祝을 써 붙이지 않는다.

 

대문에는 對句를 八字형으로 써서 붙이며

기둥에는 短句의 한장의 문장을 세로로 써 붙인다.

 

우리나라 24절기중 첫 절기인 입춘은 봄으로 접어드는 절기다.

입춘은 대개 음력 설이 지나고 며칠후에 들수가 있고

혹은 설 전인 섣달에 들수가 있다.

이런 경우

입춘이 1년에 두번드는 경우인데 이를 再逢春(재봉춘)이라 한다.

요즘 사전에도 없는 雙春節(쌍춘절). 雙春年(쌍춘년)이라 말 하는데

이는 재봉춘을 마음대로 해석한 맞지도 않고 없는 말이다.

 

2010년(庚寅年)과 같이 입춘이 전혀 없는 해도 있으며

이를 無春年(무춘년)또는 亡春年(망춘년)이라 하기도 한다.

*옛 어른들 이야기를 빌리면 재봉춘이면 김장이 흉년이란 말도 전해진다

 

短句(단구)
春到門前增富貴(춘도문전증부귀):봄이 문전에 오니 부귀를 더 한다.
春光先到吉人家(춘광선도길인가):봄빛이 먼저 오니 길인의 집이로다.
一家和氣滿門楯(일가화기만문순):가정에 화기가 문전 난간까지 가득하고.
人情富貴如將得(인정부귀여장득):장차 인정과 부귀를 얻는다.
玉洞桃花萬樹春(옥동도화만수춘):마을 복숭아꽃 가지마다 맺히는 봄.
立春大吉(입춘대길)       :봄이 시작되니 크게 길하고.
掃地黃金出(소지황금출):땅을 쓸면 황금이 나오고
開門萬福來(개문만복래):문을 열면 모든 복이 들어 온다.
壽如山富如海(수여산부여해):산처럼 오래 살고 바다처럼 재물이 쌓여라.
千災雪消(천재설소):모든 재앙은 눈처럼 녹아 없어지고.
萬福雲興(만복운흥):많은 복 구름처럼 일어나리. 
 

對句(대구)

壽如山 富如海(수여산 부여해)

산처럼 오래살고 바다처럼 재물이 쌓여라.


去千災 來百福(거천재 래백복)

온갖 재앙은 가고 모든 복은 오라.

 

災從春雪消 福逐夏雲興(재종춘설소 복축하운흥)

재난은 봄눈처럼 사라지고 행복은 여름 구름처럼 일어나라.

 

立春大吉 建陽多慶(입춘대길 건양다경)
봄이 시작되니 크게 길하고 경사스런 일 많이 생겨라.

 

國泰民安 家給人足(국태민안 가급인족)
나라는 태평하고 집집마다 풍족하고 사람마다 넉넉하라.

 

雨順風調 時和豊年(우순풍조 시화풍년)
절기가 순조로우니 화평하고 풍성한 세월이라.

 

父母千年壽子孫萬代榮(부모천년수 자손만대영)
부모는 천년 장수하고 자손은 만대까지 번영하라.

 

天下太平春四方無一事(천하태평춘 사방무일사)
온 세상 태평한 봄이요.사방 어느곳에도 탈없기를

 

天上近三陽人間五福來(천상근삼양 인간오복래)
하늘은 삼양에 가깝고 사람에겐 오복이 오리니.

 

鳳鳴南山月 麟遊北岳風(봉명남산월 인유북악풍)
봉은 남산의 달 아래울고 기린은 북악의 바람에서노닌다.

 

掃地黃金出 開門萬福來(소지황금출 개문만복래)

땅을 쓸면 황금이 나오고 문을 열면 모든 복이 들어 온다.
 

一家和氣滿門楯 春色江山漸看新(일가화기만문순 춘색강산점간新)

가정에 화기가 문전 난간까지 가득하고,강산에 비친 봄빛은 점차 새롭게 보이네.

 

天增歲月人增壽 春滿乾坤福滿家(천증세월인증수 춘만건곤복만가)

세월이 좋으니 인명이 길어지고,만복이 하늘과 땅과 집집마다 가득하다.

 

千禍皆消滅 四時大吉祥(천화개소멸 사시대길상)

천가지 재앙이 모두 사라지고 일년 내내 크게 길하고 상서로워라.

 

 

'生活倉庫(생활창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五福(오복)과 六極(육극)  (0) 2020.02.01
孝는 百行의 根本.  (0) 2016.10.24
三伏(삼복)  (0) 2016.09.25
結婚記念日(결혼기념일)  (0) 2016.08.31
結婚記念日(결혼기념일)  (0) 2016.08.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