惡盈箴(오영잠)-李植(이식)
-교만을 경계하는 글 *幷序(병서)
自余去冬到驛以後(자여거동도역이후) : 내가 지난 겨울에 역(驛)에 온 뒤로
怡神養氣(이신양기) : 정신이 편안해지면서 기력이 나아져
比前稍適(비전초적) : 예전보다는 조금 쾌하게 되었으므로,
頗爲自幸(파위자행) : 나 자신도 꽤나 다행으로 여긴 나머지
或揚于人(혹양우인) : 간혹 사람들에게 이런 사실을 떠벌리기까지 하였다.
未幾(미기) : 그런데 얼마 지나지 않아서
得頭風逾日痛苦(득두풍유일통고) :
두풍(頭風)을 앓아 하루가 넘도록 그 고통에 시달리게 되었으므로,
異哉(이재) : 기괴하였다
若有鬼瞰而神戲之也(약유귀감이신희지야) : 마치 귀신이 엿보고 있다가
장난을 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因竊怪念(인절괴념) : 이 일을 계기로 해서 생각해 보니
余生二十有二年矣(여생이십유이년의) : 내가 지금까지 22년을 살아오는 동안,
無一件事成(무일건사성) : 제대로 이루어진 일이 하나도 없었고
無一日身安(무일일신안) : 하루도 몸이 편한 날이 있지 않았다.
少有計較之端喜幸之望(소유계교지단희행지망) : 그동안 조금 계교(計較)를
하다가 다행히 이루어질 희망이 있게 되면,
則輒有捏扤之敗呻吟之患(즉첩유날올지패신음지환) : 그때마다
번번이 낭패를 당해 쓰러져서 신음하는 환후가 있었는데
至于今(지우금) : 지금에 와서도
身與事相格(신여사상격) : 나의 몸과 하는 일이 서로 갈등을 빚고
命與行相軋(명여행상알) : 나의 운명과 행동이 서로 알력을 빚는 가운데,
百病九死而餘一生矣(백병구사이여일생의) : 온갖 병마(病魔)에 시달리면서
숱하게 죽을 고비를 넘기다가 간신히 목숨만 부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可不惕然恐懼以惻念天之明威哉(가불척연공구이측념천지명위재) :
그러니 스스로 반성하며 두려워하는 심정을 가지고
하늘의 밝은 위엄에 대해서 통절히 생각하지 않을 수가 있겠는가.
然而小器易盈(연이소기이영) :
그러하니 자그마한 그릇은 빨리 차서 넘치기가 쉽고,
潢潦易渴(황료이갈) : 고인 빗물은 쉽게 말라 버리기가 십상인데,
得一毫以爲足(득일호이위족) : 털끝 하나를 얻었다고 해서 스스로 만족하고,
抗千鈞而自足(항천균이자족) :머리카락 한 올을 가지고 천균(千鈞 삼만 근(斤))의
무게에 맞서면서 스스로 대단하게 여긴다면,
宜乎天不悔禍而降之災也(의호천불회화이강지재야) :
하늘이 지금까지 화(禍)를 내린 것을 후회하지 않고서
계속 재앙을 내려보낼 것은 또한 당연한 일이라 하겠다.
嗚呼(오호) : 아,
天將玉我於阨窮疾病耶(천장옥아어액궁질병야) : 하늘이 장차 곤궁과
질병을 통해서 나를 완전하게 성취시켜 주실지도 모르는 일인데,
吾常動心忍性(오상동심인성) : 그렇다면 내가 항상 동심인성(動心忍性)하며
*動心忍性: 마음을 분발시키고 자기의 성질을 참아 강인하게
만드는 것을 뜻하는 말(孟子/告子下)
遵養時晦(준양시회) : 현재의 상황에 순응하며 역량을 축적하고 있다가
*遵養時晦: 현재의 상황에 순응하며 역량을 축적하다가 때가 되면
실력을 발휘하는 것(詩經/周頌/(酌)
以投其會可也(이투기회가야) :
계기가 찾아오면 떨쳐 일어날 수 있도록 해야만 할 것이다.
天將卒我於阨窮疾病耶(천장졸아어액궁질병야) : 그리고 그 반면에
하늘이 장차 나를 곤궁과 질병 속에 신음하다가
그냥 죽게 할지도 모르는 일인데, 설령 그렇다고 하더라도
吾當修竢順承(오당수사순승) :
내 입장에서는 나 자신을 닦고 기다리며 그 뜻을 받들어 순응하다가
以畢此生可也(이필차생가야) : 생을 마치는 것이 온당하다고 할 것이다.
不容自肆於法綱之外以速其拂逆之罪(불용자사어법강지외이속기불역지죄) :
따라서 법망(法網)의 바깥에서 제 멋대로 행동하다가
거역하는 죄를 빨리 범할 수는 없는 일이라고 여겨진다.
爰取福謙之義(원취복겸지의) :
이에 겸허한 자에게 복을 내려 주는 그 의리를 취하여
以爲訟過之地(이위송과지지) : 나의 허물을 자책하는 계기로 삼고자 하는 뜻에서
詞曰(사왈) : 다음과 같이 잠(箴)을 짓는 바이다.
洪鈞命物(홍균명물) : 하늘이 만물을 이 세상에 내실 적에
或値其奇(혹치기기) : 기구한 때를 만나게 할 수도 있겠으나
順斯承斯(순사승사) : 그 뜻을 순응하고 받들어 모셔야만
乃分之宜(내분지의) : 그야말로 분수에 마땅하다 할 것이니
孰敢拂逆(숙감불역) : 어찌 감히 여기에 어긋나게 행동하여
以干明威(이간명위) : 밝은 위엄을 범해서야 되겠는가
智者畏天(지자외천) : 지혜로운 자는 하늘의 뜻을 경외(敬畏)하여
如事嚴父(여사엄부) : 마치 엄한 부친처럼 받들어 모시면서
韜鋩斂華(도망렴화) : 광망(光鋩)과 영화(英華)를 안에다 감추고는
守以貞固(수이정고) : 올 곧고 굳건하게 자신을 지키거늘
愚昧罔念(우매망념) : 어리석은 자는 생각을 하려 하지 않고
自暇乃肆(자가내사) : 스스로 한가하게 제 멋대로 행동하여
憂愁放蕩(우수방탕) : 근심과 시름 속에 난봉이나 부리면서
希幸圖冀(희행도기) : 요행히 잘 되기를 헛되이 기다리다
犯綱干紀(범강간기) : 기율(紀律)을 범하고 법을 어긴 나머지
重過速累(중과속루) : 결국은 중한 죄에 스스로 빠져 드는도다
眷余墮地(권여타지) : 돌아보면 내가 이 세상에 나온 뒤로
年廿加二(년廿가이) : 어언 스물 하고 두 살을 먹는 동안
以悴以疾(이췌이질) : 시름 속에 잠기거나 병고(病苦)에 시달리며
爲困爲阨(위곤위액) : 온갖 고난과 환란을 다 겪었어라
一刻得飽(일각득포) : 어느 한 순간 배불리 먹고 나면
三旬之餓(삼순지아) : 한 달은 배곯아 지내기 일쑤였고
升勺獲利(승작획리) : 한 되나 한 홉의 이득을 얻고 나면
鍾石之害(종석지해) : 한 말이나 한 섬의 손해를 보았나니
東西蹇連(동서건련) : 동쪽과 서쪽에서 낭패를 당해 넘어지고
左右牽掣(좌우견체) : 오른쪽과 왼쪽에서 모두 견제를 당했도다
諄諄天誨(순순천회) : 하늘이 반복해서 가르침을 내려 주고
惓惓神告(권권신고) : 신명(神明)이 간절하게 일러도 주었건만
尙不自悟(상불자오) : 지금까지 스스로 깨우치지 못한 채
恐懼晦匿(공구회닉) : 두려워하면서도 숨기려고만 하였나니
持心躁妄(지심조망) : 마음가짐 역시 경망스러웠는지라
逞氣放逸(령기방일) : 기운을 뽐내면서 제 멋대로 굴었도다
鷦鷯粒粟(초료립속) : 곡식 낱알 쪼아 먹는 메추라기가
抗志鵬翮(항지붕핵) : 구만리 나는 붕새에 감히 대들었고
白小尺波(백소척파) : 얕은 물에 뛰노는 은어(銀魚) 한 마리가
睨意龍級(예의룡급) : 깊은 물 속 용의 뜻을 엿보았으니
鬼拍手笑(귀박수소) : 귀신이 돌아 보며 박장대소(拍掌大笑)하고
天在上赫(천재상혁) : 하늘이 위에서 한 번 크게 노하실 일
降以災咎(강이재구) : 이에 재앙을 이 몸에 거듭 내리시어
式月斯亟(식월사극) : 달마다 급박하게 들이닥치게 하였나니
不率厥初(불솔궐초) : 당초에 그 뜻을 알고 따르지 못한 터에
雖悔何及(수회하급) : 이제 와서 후회한들 무슨 소용이 있으리요
戒之戒之(계지계지) : 모쪼록 경계하고 경계해야 할지니
式自今日(식자금일) : 지금 이날부터라도 새롭게 출발해서
守墨守谿(수묵수계) : 수묵하고 수계하는 경건한 마음가짐으로
卑以自牧(비이자목) : 자신을 낮추면서 닦아 나갈 일이로다
塞兌垂簾(새태수렴) : 입을 꽉 다물고서 밖으로 발을 드리운 채
默然自保(묵연자보) : 말 없는 가운데에 자신을 보전할 것이니
一席之外(일석지외) : 내가 앉은 이 자리를 벗어난 그 바깥은
卽非我土(즉비아토) : 내가 밟고 다닐 땅이 아니라고 알지어다
今日尙矣(금일상의) : 오늘부터 시작하면 그래도 낫겠지만
明不暇給(명불가급) : 내일이면 벌써 걷잡을 수 없으리니
毋庸算甕(무용산옹) : 항아리를 끌어안고 계산하던 사람처럼
計較逆適(계교역적) : 생각으로만 치달리며 앞질러 가지 말지로다
常若欹器(상약의기) : 항상 의기를 옆에 놓았던 고사처럼
*欹器:가난하게 사는 사람이 항아리 하나를 애지중지하면서
밤에도 끌어 안고서 자곤 하였는데, 어느 날 저녁 항아리 하나를
밑천 삼아 부자가 되는 생각에 젖은 나머지 기쁨에 겨워 춤을 추다가
그 항아리를 밟아 깨뜨려 버렸다는 ‘옹산(甕算)’의 고사가 전한다(梅磵詩話 卷中)
縮栗慓惕(축률표척) : 몸을 움츠리고 두려워 떠는 심정이면
汝身莫亢(여신막항) : 그대 감히 앞에 나와 교만을 떨지 못하리니
寧就他恤(녕취타휼) : 어찌 남의 걱정까지 도맡을 틈이 또 있을까
小人在難(소인재난) : 소인이라 할지라도 환란을 겪게 되면
亦克知悔(역극지회) : 그들 또한 잘못을 후회할 줄 알다가도
旣安旣平(기안기평) : 일단 안정되고 평안해지고 나면
反無所忌(반무소기) : 거꾸로 거리낌없이 더욱 날뛰나니
戒之戒之(계지계지) : 모쪼록 경계하고 경계를 할지어다
毋越斯規(무월사규) : 부디 이 잠규(箴規)를 어기지 말고
一事一日(일사일일) : 어느 날 어떤 일을 하든지 간에
念茲在茲(념자재자) : 항상 이 경계를 염두에 둘지어다
'箴言(잠언)' 카테고리의 다른 글
接物箴(접물잠)-李植(이식) (0) | 2018.01.06 |
---|---|
斗室記(두실기)-李植(이식) (0) | 2016.10.12 |
篤志箴(독지잠)-李彦迪(이언적) (0) | 2016.09.12 |
改過箴(개과잠) -李彦迪(이언적) (0) | 2016.08.10 |
敬身箴(경신잠)-李彦迪(이언적) (0) | 2016.07.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