聖賢(성현)의 글

太公(태공)의 十戒(십계)

華谷 2015. 10. 27. 20:26

 

 

 

太公(태공)의 十戒(십계)

養男不敎訓 爲一錯(양남불교훈 위일착)

아들을 기르며 가르치지 않는 것은 첫째의 잘못이다.

 

嬰孩不訓 爲二誤(영해불훈 위이오)

어린아이를 훈도하지 않는 것이 둘째의 그름이다.

 

初迎新婦不行嚴訓 爲三癡(초영신부불행엄훈 위삼치)

새 아내를 맞아들여서 엄하게 가르치지

않는 것이 셋째의 어리석음이다.

 

未語先笑 爲四失(미어선소 위사실)

말하기 전에 웃기부터 먼저 하는 것이 넷째의 과실이다.

 

不養父母 爲五逆(부양부모 위오역)

부모를 부양하지 않는 것이 다섯째의 거스름이다.

 

夜起赤身 爲六不祥(야기적신 위육불상)

밤에 알몸으로 일어나는 것이 여섯째의 상서롭지 못함이다.

 

好挽他弓 爲七奴(호만타궁 위칠노)

남의 활을 당기길 좋아하는 것이 일곱째의 상스러움이다.

 

愛騎拖馬 爲八賤(애기타마 위팔천)

남의 말을 빌려 타기를 좋아하는 것이 여덟째의 천함이요..

喫拖酒勸他人爲九愚(끽타주권타인 위구우)
남의 술을 마시면서 다른 사람에게 권하는 것이

아홉째의 어리석음이다.

 

喫拖飯命朋友 爲十强(끽타반명붕우 위십강)       
남의 밥을 먹으면서 벗에게 주는 것이 열번째의 뻔뻔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