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시래의 由來(유래)
야외에서 음식을 먹기 전에 조금씩 떼어내
던지는 것이 ‘고시래’다.
백과사전의 풀이에 따르면 “고수래·고시례·고씨네등으로도
불리며 지신(地神)이나 수신(水神)에게 먼저 인사를 드리고 무사히
행사를 치르게 해달라는 기원과 잡귀 추방의 주술적인 의미가
포함되어 있다”고 되어있다.
국내 최대 곡창지대인 호남평야 만경뜰에는
진묵대사(震默一玉,1562-1633)가 ‘고시래’의 원조로 알려져 오고 있다.
효심 깊은 진묵대사는 어머니 조의(調意)부인이 돌아가자
김제 만경 화포리 불거촌(佛居村)에 장사를 지낸다.
이곳은 진묵대사 탄생지로 천년간 향이 끊이지 않는다
(無子孫 千年 香火之地)는 명당터이다.
지금도 이곳 진묵대사 모친 묘에는 해마다 수십만명의
참배객이 줄을이어 향을 올리고 있다.
이곳에서 내려오는 구전에 따르면,
만경뜰을 지나던 진묵대사는 들판에서 일하는 농부들로부터
공양 받을 때마다 음식을 조금 떼어내 어머니를 위해 들판에 던졌다고 한다.
이때부터 농부들도 진묵대사 어머니를 부르며 음식을 나눴다.
세월이 흐르면서 ‘조의씨에게 예’를 올린다는 말이 ‘고씨네’ ‘꼬시래’
‘고시래’ 등으로 바뀌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는 것이다.
불거촌 초입에서 만난 송봉철씨(75. 율리부락)는
“일하다가 술이나 밥을 먹을 때 ‘허-이, 꼬시래’ 하고 음식을 나누면
집안이 잘되고 농사가 잘되지. 꼬시래는 하는 사람도 좋고 받는이도 좋다고
허거든”이라며, 마치 진묵대사 모친을 부르는듯 모습을 취한다.
불거촌은 약 3-4만평 규모의 야트막한 구릉이다.
진묵대사 모친 묘 주위에는 성모암(주지 종우)과
조앙사(주지 송헌)가 자리해 있다.
몇 해전만 해도 진묵사라는 절까지 무려 3곳의 사찰이 함께한 진묵성지이다.
진묵대사의 어머니 묘소는 무자손천년향화지지(無子孫千年香火之地)로
자손이 없어도 천년동안 제사를 지내줄 사람이 이어지는 명당이라 하며
오늘도 많은 참배객이 줄을 잇는다.
진묵대사를 흠앙(欽仰)하는 조앙사가 있고 추모하기 위한 진묵사가 있다.
'民俗信仰(민속신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三 神 思想(삼신 사상)-삼신 할머니 (0) | 2015.06.10 |
---|---|
물밥은 왜 올릴까? (0) | 2015.06.07 |
혼인식에 국수를 먹는 이유? (0) | 2015.05.21 |
금줄 (0) | 2015.05.10 |
天下大將軍.地下女將軍(천하대장군.지하여장군) (0) | 2015.05.09 |